한국은행, '근무 여건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 발표
여성·저연령·고학력 근로자가 근무여건 좋은 일자리에 많아
근무여건 임금으로 환산하면…소득불평등↑·남녀 임금격차↓

한국은행. 사진=정석규 기자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임금보다 ‘근무 여건(job amenity)’을 중시하는 근로자가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유연한 근무조건이나 발전 가능성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근무 여건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활동인구조사 임금근로자 부가 조사에서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서 근무 여건의 비중(31.5%)은 임금 수준(26.8%)을 크게 웃돌았다.

한은은 이를 토대로 ▲유연근무 ▲재택근무 ▲육체적 강도 ▲업무 강도 ▲자율성 ▲독립성 ▲발전 가능성 ▲직업 보람을 근무 여건을 구성하는 8개 요소로 설정하고 직업별 근무 여건 지수를 산출했다.

잡 어메니티 지수 상하위 직업. 이미지=한국은행

분석 결과 근무 여건이 높은 상위 10개 직종은 법률·감사 사무 종사자, 상품기획·홍보·조사 전문가, 법률 전문가, 디자이너, 기타 교육 전문가, 작가 및 언론 전문가, 대학교수·강사, 의회 의원과 고위공무원, 종교 종사자 등으로 나타났다. 하위 10개 직종은 건설·광업 단순 종사자, 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건설·채굴 기계 운전원, 하역·적재 종사자 등이었다.

한편 임금 외 유연한 근무조건이나 발전 가능성 등의 근무 여건(job amenity)이 좋은 직장에 젊은 여성 고학력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근무 여건을 임금으로 환산할 경우 우리 사회의 소득 불평등은 더 심해지지만, 남여 임금 격차는 오히려 줄었다.

근무여건 반영 시 성별 임금 격차. 이미지=한국은행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성·연령·학력수준별 근무 여건 지수를 비교하니 여성과 저연령층, 고학력자가 남성, 고령층, 저학력자보다 근무 여건이 좋은 직업에 더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여성의 경우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고 유연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라며 "아울러 고학력 근로자도 육체적 능력이 덜 필요한 인지적 일자리, 개인 발전 가능성이 큰 전문직 일자리에 근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연령 특징에 대해서는 "고령층의 경우 근무 여건에 대한 선호나 만족도는 높지만, 낮은 교육 수준 등 때문에 취업 계층에서 밀려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이 낮았다"고 덧붙였다.

근무 여건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하위 20% 소득)이 4.0에서 4.2로 오히려 더 커졌다. 불평등 상황이 더 나빠진다는 뜻인데, 한은은 고소득 근로자들이 근무 여건도 좋은 일자리에 주로 종사하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남성 대비 여성의 상대 임금 비율은 70.5%에서 73.6%로 올라 성별 임금 격차가 줄었다.

이 과장은 "여성들이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더 많이 있을 뿐 아니라 근무 여건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여성과 고령층의 비중은 점차 늘겠지만, 근무 여건에 대한 이들의 선호를 고려하면 근무 여건이 나쁜 일자리의 인력난은 더 심해질 것"이라며 "정책 지원 등을 통해 유연한 근무 여건 등을 제공해야 이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인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