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지난해 연체율 6.55%까지 치솟아
금융당국, 이달 현장 점검 실시…관리 집중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최근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연달아 강등되며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선 자본 조달력이 낮은 중소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건전성 문제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1일부터 저축은행 부동산 PF 정리를 위해 경་공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중앙회 표준 규정에 반영해 시행 중이다.

표준 규정 개정안을 보면 저축은행들은 6개월 이상 연체된 PF대출에 3개월 단위로 경·공매를 실시해야 한다. 공매가는 실질 담보가치와 매각 가능성, 직전 공매 회차 최저 입찰가격을 감안해 적정하게 산정하도록 했다.

이는 최근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PF 부실 사업장 정리를 강조하고 나서면서 이뤄진 조치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치솟는 등 건전성 우려가 높아진 탓이다. 지난해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3.41%) 대비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부동산 PF 연체율도 6.94%로 전년 말(2.05%)보다 4.89%포인트(p)나 높아졌다.

자산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을 보면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의 연체율은 각각 4.91%, 6.68%로 전년 대비 2.88%p, 1.75%p씩 상승했다. 한국투자저축은행 5.14%, 웰컴저축은행 5.75%, 애큐온 저축은행 5.09%로 전년 대비 2.37%p와 2.53%p, 2.23%p씩 상승했다. 6년 만에 5위권 밖으로 밀려난 페퍼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연체율 4.12%에서 9.39%로 5.27%p나 치솟았다.

건전성 지표 악화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 업계는 경·공매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부실채권 정리로 수익성이 더 악화될 수 있어서다. 부실 채권에 대해 충당금을 적립한데다 장부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부실채권을 매각하게 되면 손실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연간 5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내는 등 업계 전체가 수익성이 악화한 것도 걸림돌이다. 조달 비용 상승과 부동산 PF 대출 관련 충당금을 추가로 쌓으면서 순이익이 크게 급감했다. 전국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절반이 넘는 41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최근 금감원은 일부 저축은행에 비상시 자본조달 계획 외에도 재무구조 관리 방안 등 건전성 관리 계획 제출을 주문했다. 금감원의 자본조달 계획 요구는 전체 79개 저축은행 중에서도 자산순위와 자본조달력이 낮은 중소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PF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건전성이 취약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지 위기라는 말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경공매 활성화 등을 통해 연체율을 줄여나가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