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분류체계 한계 존재, 목적에 맞는 신규 설계 필요
건산연,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추진 위해 개념 정립
이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활성화 수준진단 이뤄야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이지경제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이지경제

[이지경제=최준 기자] 최근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유도를 위한 노력에도 발주 및 입찰제도의 제약, 건설기업의 인식과 활용도 차이 등으로 인해 한계가 드러나서다.

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기존 건설 관련 분류체계 특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기존 분류체계는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 적용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기존 분류체계 한계는 각 분류체계가 산업별 통계분석, 과학기술 분류기준 수립, 기술수준의 조사 및 전략수립을 목적으로 수립됐기 때문에 산업 차원의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건산연은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를 제시했다.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수준 진단을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안).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수준 진단을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안).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우선 건설사업 수행단계와 생산시스템 혁신의 특성에 따라 2차원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를 제안했다.

각 영역에 해당되는 개별 기술은 단계 및 특성의 이니셜과 순번에 따라 코드를 부여해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행단계는 계획·설계 단계, 시공 단계, 운영·유지 단계로 구분했다. 

혁신영역은 디지털화, 자동화, 탈현장화, 안전·품질 향상으로 구분해 각 부문에 해당하는 개별 기술이 포함되도록 구성했다.

또 분류체계에 해당되는 개별 기술은 식별코드에 숫자를 부여했으며 기술의 식별과 새로운 융합 및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추가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여러 단계에 적용이 가능하거나 복수의 혁신영역에 해당하는 기술은 각 영역에 중복 등록을 할 수 있으며 기술의 적용단계와 특성 구별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게 건산연 측 설명이다.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제안한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는 국내 건설기업들의 단계별·영역별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 현황, 도입계획 등의 체계적 진단을 위한 틀로써 활용될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산업 차원의 경쟁력 진단 및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