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0억원 규모 2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 조성
1360억원 규모 개인·개인사업자 부실채권 매각

사진=뉴사스
사진=뉴사스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저축은행업권이 급등하는 연체율을 잡기 위해 상반기에만 약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이 상반기에 매각을 추진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총 1조46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펀드 규모가 5100억원으로 절반을 차지한다. 당초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5일 4600억원 규모로 PF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펀드를 조성했으며 최근 500억원을 추가했다.

이 펀드 운용은 웰컴저축은행 계열사인 웰컴자산운용이 2800억원을, 한국투자저축은행 계열사인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2300억원을 각각 맡아 관리하고 있다. 또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NPL) 매각도 시행한다.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사태로 취약차주의 대출 상환이 어려워지자 과잉 추심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은 캠코가 운영하는 새출발기금에만 매각하도록 했다.

하지만 캠코가 매입을 독점하게 되면서 매입 가격이 시장 가격에 비해 낮아지자, 매각 측에서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금융위는 지난해 유동화전문회사에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을 매각할 수 있도록 통로를 넓혀주고, 올해에는 개인사업자 채권도 유동화전문회사에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100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 채권을 우리금융F&I에 매각한 데 이어, 이달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은 우리금융F&I·키움F&I·하나F&I 등에 매각하기로 했다. 아울러 개별업체의 부실채권 대손상각도 3000억원 정도의 규모로 이뤄질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이처럼 부실채권 총 1조460억원 매각을 이달까지 집행할 계획이다. 저축은행들이 대규모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 이유는 1분기 말 연체율이 8.8%까지 뛰면서 이달 말에는 10%대로 올라설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탓이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17곳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가계부문 연체 대출채권 잔액은 2019년 말 대비 5564억원 늘었는데, 이 중 76.4%(4254억원)가 생계자금형 연체 대출채권이었다. 연체율도 뛰고 있다. 17곳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이 지난해 말 5.4%로 1년 전(4.2%)보다 1.3%포인트 올랐다.

지형삼 나신평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여신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 담보대출의 열위한 차주 특성은 자산건정성에 부담 요인”이라며 “한계여신 매각이 지연되는 가운데 신규 대출 둔화세가 지속될 경우 자산건전성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신평은 이후 페퍼저축은행의 회사의 경쟁지위 및 사업포트폴리오 변화와 호주 페퍼 그룹의 지원 가능성 변화 여부 등을 통해 등급변동을 검토할 예정이다.

문제는 저축은행이 부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벽을 더 높게 쌓으면서 실적도 나빠지고 있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1543억원 순손실을 냈다. 전년 동기보다 손실 규모가 1016억원 늘었다.

금융당국도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에 공들이고 있다. 지난 3일부터 금융감독원은 연체율 관리가 미흡한 10여개 저축은행에 현장 점검에 나섰다. 지난 4월 일부 저축은행 대상으로 연체율 관련 현장점검을 한 이후 두 번째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나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연체율 하향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